2019 울산지진방재포럼

市 지진방재종합 수립 위해

산·학·관·연등 150명 참석

UNIST·울산대 교수등 발표

액상화 위험에 정밀조사 제안

다양한 홍보·교육강화 필요도

지진발생 시 주민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및 교육 강화와 함께 복합재난 위험성이 높은 국가산단 안전을 위한 긴급대응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울산시는 2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진재난 극복을 위한 방안’이라는 주제로 ‘2019 지진방재포럼’을 개최했다. 지진방재정책 관련 산·학·관·연 관계자와 시민 등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공개토론회(포럼)는 지난 3월 수립한 기본계획에 세부시행계획을 더해 올 상반기 ‘울산시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하고자 마련됐다.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는 ‘울산시 지진방재기본계획’ 주제발표에서 “정부의 5년 단위 종합계획 만으로는 최근 부각되는 울산의 지진 위험성과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를 아우르는 울산시 고유의 지진방재종합계획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과정에서 울산지역 지반에 대해 직접 시추조사를 했는데, 신시가지나 국가산단 등 매립지의 경우 액상화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정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설연구관은 ‘국가 지진방재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경주(2016년)·포항(2017년) 지진 이후 정부의 ‘지진방재 개선대책’과 ‘제2차 지진방재종합계획(2019~2023)’에 대한 내용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울산에 위치한 만큼 각종 정책 및 기술개발에 있어 울산시를 테스트베드(시험무대)로 해 지방정부의 대응능력 향상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익현 울산대 교수는 ‘산업단지의 지진안전대책’을 통해 “산업단지의 경우 생산체계가 집중돼 있고,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만큼 지진 등 재난이 발생하면 대형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며 “여기에 울산의 경우 도심과 근거리에 위치한데다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시설물이 20% 정도로 추정돼 더욱 복잡한 위험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울산지역 산업단지의 지진 취약성과 잠정적인 지진재난 위험요소를 짚은 그는 지진재해 경감대책의 일환으로 ‘3단계 긴급대응시스템’의 도입과 ‘피해시나리오 기반의 대응’을 설명했다.

이어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좌장으로 나선 패널 토론에서는 김미형 울산시의회 행정자치위원과 윤영배 울산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애경 울산안전생활실천 시민연합 부대표, 백기태 울산시 미래비전위원회 위원, 김준호 경상일보 기자, 울산시 재난관리과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수립 계획에 대한 매년 평가체계 구축’ ‘지진방재에 대한 지자체 권한 강화’ ‘원전·산업단지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대피매뉴얼 강구’ ‘재난 발생 시 주민대피소의 내진 강화 및 고지서 등을 통한 대피소 안내 강화’ 등의 제안이 이뤄졌다.

김정익 울산시 재난관리과장은 “정부 차원이 아니라 지방정부가 선도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춘 대비로 주민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이다”며 “울산에 있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종 연구와 사업을 추진할 때 울산에서 시범적으로 진행되고, 이게 전국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신경 써달라”고 말했다. 김준호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