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어 중간재 수입 많아
금속·전자 등 수출에 영향
아세안 진출 기업에도 피해
1분기 GDP 성장률 -2.9%도

신종코로나 장기화로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주요국 가운데 한국이 두 번째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감염증 사태가 장기화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경우 한국의 올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이하 지난해 동기대비)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중간재 공급 차질시 글로벌 생산 체인 영향

1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신종코로나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중간재 수출 가운데 한국으로 향하는 규모는 총 751억8750만달러(약 89조원·2017년 기준)로, 전체 중간재 수출의 6.5%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10.7%)을 제외하고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이다. 일본(5.5%), 독일(3.3%), 대만(2.7%), 베트남(2.6%), 인도(2.1%), 캐나다(2.1%), 멕시코(2.0%), 싱가포르(1.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는 중국산 1차 금속 중간재 수입국 가운데 한국(10.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중국의 전자 부품과 화학 중간재 수출에서 한국 비중은 각각 8.5%, 7.5%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컸고, 섬유·의복, 기계, 자동차·운송에서는 세 번째로 큰 중국산 중간재 수입국으로 꼽혔다.

이처럼 한국은 중국과 중간재 공급 사슬이 긴밀하게 엮여있어 신종코로나 장기화로 중국의 중간재 공급과 수출량이 줄어들 경우 적잖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KIEP은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중국 진출 기업과 수입기업이 일차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며 “한국 수출기업도 현지 경기 둔화 등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3국을 통해서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경우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아 신종코로나 장기화 시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지역에 진출한 한국 현지 기업이 적지 않으며, 이들 기업의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우려 점이다.

KIEP에 따르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전기전자기업은 전체 부품·원자재의 25.9%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자동차·기계 기업의 경우 중국 원자재의 비중이 20%, 섬유·의류 기업은 19.8%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섬유·의류 기업도 원자재의 25.4%를 중국에서 수입 중이다.

◇노무라, 한국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0.2%~-2.9% 추정

일본계 노무라증권은 신종코로나로 인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기본 시나리오의 경우 0.2%, 최악 시나리오의 경우 -2.9%로 예상됐다고 발표했다.

노무라증권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신종코로나 발생 전 한국 경제는 경기 회복 조짐을 보였으나, 신종코로나로 인한 지역 공급망 차질, 중국 수요 약화, 중국 방문객 감소로 인해 회복세가 지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신종코로나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발생 때보다 클 것”이라며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을 3단계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우선 노무라증권은 “현재 중국의 봉쇄 조치가 2월 말까지 이어지고 신종코로나 확산이 중국 내로 제한되는 경우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2.2%에서 올해 1분기 0.2%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이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해 한국의 수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전자와 자동차 부문의 공급망 차질로 산업 및 무역 활동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전염병이 일단 통제되면 2분기 GDP 성장률은 2.2%로 브이(V)자형으로 회복할 것”이라며 올해 연간 GDP 성장률을 지난해(2%)보다 약간 낮은 1.8%로 전망했다.

노무라증권은 신종코로나로 인한 중국의 봉쇄가 6월 말까지 이어지고 한국에서도 확산세가 가속화될 경우를 최악의 상황으로 가정했다.

또 1분기 GDP 성장률은 -2.9%로 후퇴하고, 연간 GDP 성장률은 0.5%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