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현장 반영된 사고예방 매뉴얼 구축 선행돼야

산단환경 꾸준히 개선 노력
대형사고 발생시 유관기관 간
유기적 정보 공유·활용 중요

육상과 해상을 가리지 않고 매년 크고 작은 화학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자 울산시는 국가산단에 대한 대대적 환경 개선을 준비하는 동시에 유관기관들과 사고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마련중이다.

그러나 정부가 관련 예산 지원에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거나 현장에서 관련 매뉴얼·시스템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등 아직까지 곳곳에서 애로사항이 보이고 있다.

◇산단 환경 개선 팔 걷은 울산시

울산시는 그동안 시설노후화와 제대로 된 안전관리 체계 미확립으로 지속적으로 문제가 지적됐던 울산국가산업단지의 대개조를 위한 ‘국가산단 대개조 공모사업 연구용역’을 추진중이다. 울산시는 지난 5월 정부 사업에 공모했으나 준비 미흡으로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셨다. 시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내년 4월 다시 한 번 정부 사업에 공모를 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숨겨진 화약고로 불렸던 지하배관의 경우 울산시가 노후 지하배관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을 권역별로 나눠 실시하고 있다. 올해 5월까지 370㎞가 완료된 상태이며 나머지 540㎞ 배관에 대해서도 2022년까지 안전진단을 완료한 뒤, 위험성이 높은 배관에 대해 AI, IoT 등 정보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도 추진중이다.

다만 울산시가 추진중이던 고성능 소방선박 도입은 정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발목이 잡힌 상태이다.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폭발 당시 울산에는 고성능 소방선박이 없어 부산해경 소속 3001함(3200t급)이 사고 발생 4시간만에 울산에 도착해 화재 진압을 도왔다. 이후 울산시는 고성능 소방선박 도입을 추진중이지만 소방선박 1대당 약 300억원의 예산이 투입돼야 해 시는 정부에 예산 지원을 요청했지만 유례없는 폭발 사고를 겪고도 정부에선 해당 예산 반영에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항은 화재위험성이 높은 액체화물 취급비중이 높은만큼 대형 화재에 대비한 고성능 소방선박 배치가 필요한데 예산 반영이 안 돼 아쉬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사고 예방 첫 걸음은 지속적 관심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에 따르면 올해 발생한 화학사고 7건 중 작업자부주의가 3건, 시설관리미흡·운반차량사고가 각 2건씩이다. 시설관리미흡도 작업장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부주의로 본다면 결국 화학사고 상당수가 인재란 뜻이다.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사고 역시 울산해경 조사 결과 사전에 사고를 인지할 수 있는 징후가 보였으나 러시아인 선장 등이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사고 관련 전문가는 “실제 발생하는 사고의 약 70%가 작업자 부주의로 발생한다. 주기적으로 안전교육이 꼭 필요하지만 올해는 신종코로나로 안전교육을 못하고 있어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사고 발생시 유기적인 정보 공유와 활용의 중요성도 제기됐다. 대형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상황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관기관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동대응 대화방이 자동으로 개설되고 사고 관련 각종 정보가 공유된다. 그러나 같은 정보를 가지고도 활용도가 각 기관별로 천차만별이라는게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 기관 관계자는 “분명 사고 관련 정보를 공유했는데 다른 기관에서 모른다고 하면 정말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선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도 필요하다.

온산산단은 중·소 규모의 사업장이 많이 모여있다 보니 오히려 대규모 사업장과 비교해 인력이나 현장 상황이 더 취약하다. 이를 반영하듯 올해 화학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도 울주군(차량사고 제외 5건 중 3건)이다. 그러나 정작 올해 화학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울주군은 관련 조례가 없다. 반면 남구와 동구는 ‘화학물질 및 위험물질 안전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화학물질 관리체계 조사, 화학물질 현황 및 관리, 사고대응 방안을 수립중이다. 김현주기자 khj1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